자바스크립트 문법 뽀개기 JavaScript 기초 문법
'입력 > 처리 > 출력이 프로그램이 하는 일'
Node.js
: 자바스크립트 언어의 문법에 맞게 코딩했을 때 컴퓨터가 이를 해석해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
일종의 전용 번역기.
Visual Studio Code
: 코딩을 위한 전용 에디터 툴
: 현업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툴
console.log()
: 문구를 출력할 때 사용
* 문자열 데이터 출력하기 위해서는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 사용
: console.log('Hello World')
주석
: 컴퓨터가 해석해서 실행하지 않는 부분을 우리가 의도적으로 표현하는 것
: 더 이상 컴퓨터가 해석하지 않기 때문에 console.log 뒷부분('Hello World')이 출력되지 않음
: 예시) // console.log('Hello World')
변수
: 저장해 놓은 데이터 또는 값을 가리키는 일종의 이름표
: let 변수 이름 = 값
let name = 'Bumsu Shin'
console.log(name)
: const 변수 이름 = 값
: const는 let과 달리 한번 변수의 값을 할당하고 나면 다시 할당할 수 없다.
해당 변수의 데이터를 다시 할당할 일 없을 때 const 사용*
TypeError :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.

// 주석 처리하면서 오류가 해결됨

데이터 타입
- 기본 타입
: number, string, boolean, null, undefined
- number(숫자)
- string(문자열)
- booelean(true / false)
: 자바스크립트에서 참과 거짓을 나타내는 별도의 데이터 타입
- null
: 비어있는 값
- undefined
:변수를 선언만 하고 값이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것

'스파르타코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3주차 (0) | 2022.06.29 |
---|---|
웹개발 종합반 2주차 (0) | 2022.06.19 |
웹개발 종합반 1주차 homework (0) | 2022.06.19 |
[JavaScript] 연산자 (0) | 2022.06.15 |
웹개발 종합반 1주차 (0) | 2022.06.13 |